1. 개요
1) 기계설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원칙
① 기계설비의 근본적 안전화
② 간접적 안전조치
③ 참조적 안전조치
2) 기계설비의 근본적인 안전 확보를 위한 고려사항
① 외관상(외형)의 안전화
② 기능적 안전화
③ 구조부분의 안전화
④ 작업의 안전화
⑤ 유지 · 보수의 안전화
2. 외관상(외형)의 안전화
1) 기계설비의 안전(재해예방)을 위한 기본 조건
2) 회전운동, 왕복운동 등 운동부분 또는 돌출부분 및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(방호)하는 것
3) 보기 좋은 기계장치의 외관은 물리적, 심적 안정감을 준다.
3) 종류
① 가드 설치 : 기계 외형 부분 및 동력전달부분
② 격리 : 별실 또는 구획된 장소
③ 안전색채 : 기계 장치 및 부수적 배관 등
3. 구조부분의 안전화(구조, 강도)
1) 구조 강도의 저하에 따른 기계설비의 파손은 물적 손실 및 중대재해를 초래
2) 재료의 결함
① 조직의 결함으로 예상 강도 미획득
② 재료 내부의 미소 크랙으로 인한 피로파괴
③ 가공 조건이나 사용 환경에 부적합 재료 사용
3) 설계상 결함
① 부하 예측과 강도 계산의 오류
② 적절한 안전계수 도입
4) 가공상 결함
① 열처리의 미흡
② 용접불량으로 인한 취성파괴 및 응력집중으로 인한 피로파괴 등
5) 사용상 결함
① 주위 환경(온도, 습도 등)
② 설치방법 부적절
③ 과도한 부하
④ 조작 방법의 부적절 등
4. 기능적 안전화
1) 회로의 개선 등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별도의 안전한 회로의 기능을 내장시키는 것
2) 자동화 기계설비의 안전화 : Fail safe, Fool proof 등
3) 위험성이 높은 기계는 병렬방식이나 리던던시 시스템을 채택
5. 작업의 안전화
1) 작업중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인간의 심리적, 생리적 특성을 고려한 기계의 사용
2) 운전 및 조작에 안전을 배려
3) 표시장치 및 디스플레이의 합리적 고려
4) 기계를 통한 쾌적한 작업환경의 유지를 도모
6. 유지 · 보수의 안전화(보전성 향상)
1) 정상작업시 보다 정비나 수리 등의 비정상작업시에 사고 빈도가 높음
2) 정비, 보수가 용이하도록 기계설비의 제작 시 설계에 반영
7. 기타 기계의 표준화 및 작업점의 안전화 등이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