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
안전기술사/기계일반 2

기계설비의 방호(안전화)

1. 개요 1) 기계설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원칙 ① 기계설비의 근본적 안전화 ② 간접적 안전조치 ③ 참조적 안전조치 2) 기계설비의 근본적인 안전 확보를 위한 고려사항 ① 외관상(외형)의 안전화 ② 기능적 안전화 ③ 구조부분의 안전화 ④ 작업의 안전화 ⑤ 유지 · 보수의 안전화 2. 외관상(외형)의 안전화 1) 기계설비의 안전(재해예방)을 위한 기본 조건 2) 회전운동, 왕복운동 등 운동부분 또는 돌출부분 및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(방호)하는 것 3) 보기 좋은 기계장치의 외관은 물리적, 심적 안정감을 준다. 3) 종류 ① 가드 설치 : 기계 외형 부분 및 동력전달부분 ② 격리 : 별실 또는 구획된 장소 ③ 안전색채 : 기계 장치 및 부수적 배관 등 3. 구조부분의 안전화(구조, 강도) 1) 구조..

위험점

1. 개요 1) 기계의 운동은 형태에 따라서 회전운동, 왕복운동, 미끄럼운동, 회전과 미끄럼운동의 조합, 진동운동 등으로 나눌 수 있다. 2) 기계의 위험성은 ① 운동하고 있는 작업점을 가지고 있다. ② 작업점에는 큰 힘이 작용을 한다. ③ 기계는 동력전달부분이 존재한다. ④ 기계의 부품은 반드시 고장이 발생한다. 3) 이들의 위험성은 기계의 운동방식에 따라 종류가 상이한데 크게 6가지로 구분한다. 2. 기계설비의 위험점의 분류 1) 협착점(Squeeze Point) ① 왕복운동을 하는 동작부분과 움직임이 없는 고정 부분 사이에서 형성되는 위험점 ② 사업장의 기계설비에서 많이 볼 수 있다. ③ 예 - 프레스기, 전단기, 성형기, 조형기, 굽힘기계 등 2) 끼임점(Shear Point) ① 고정부분과 회전..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