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전기술사/산업안전관리론

재해 통계

Eternal SUN 2022. 4. 5. 21:59
728x90

1. 개요

  1) 재해 통계는 재해 방지에 활용할 정보를 위하여 작성

  2) 동종 및 유사 재해의 예방을 목적으로 작성

 

2. 재해 통계 작성시 유의사항

  1) 이용목적에 충족할 수 있도록 충분할 것

  2) 안전활동을 추진하기 위한 자료일 것(안전활동 아님)

  3) 재해 통계를 근거로 추측 금지(상황추정금지)

  4) 사실을 정확하게 판단 및 재해통계 자체 중시 금지

  5) 이용가치가 없는 통계는 시간과 경비의 낭비 요인

 

3. 재해통계의 종류(산업재해의 지표)

  1) 연천인율

    ① 근로자 1,000명당 1년간 발생한 재해자수

    ② 산출과 사용이 용이하나

    ③ 근로시간수, 근로일수의 변동이 많은 사업장은 부적당

    ④ 연천인율 = (연간 재해자수 / 평균 근로자수) × 1,000

  2) 도수율(빈도율)

    ① 연 100만 근로 시간당 발생한 재해건수

    ② 노동 시간에 대한 재해의 발생 빈도

    ③ 도수율(빈도율) = (재해건수 / 연 근로시간수) × 1,000,000

       근로시간 계산법
       1. 근로자 1명당 1년간 근로시간 수
          - 일 8시간, 월  25일, 년 300일, 1년 2400시간
       2. 일평생 근로시간 수
          - 40년 × 300일 × 8시간 = 96,000시간, 잔업 : 4000시간
          - 96,000 + 4,000 = 1,000,000시간

  3) 강도율

    ① 1,000 근로 시간당 재해로 인한 근로손실 일수

    ② 재해의 경, 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

    ③ 강도율 = (근로손실일수 / 연 근로시간수) × 1,000

    근로손실일수
   1. 사망, 영구노동불능 : 7500일
   2. 중상해 : 8일 이상
   3. 경상해 : 1~7일

  4) 종합재해지수(F.S.I : Frequency Severity Indicator)

    ① 도수율과 강도율을 동시에 비교할 수 있는 산술평균

    ② 종합재해지수 = √(도수율 × 강도율)

 

  5) Safe T Score

    ① 과거와 현재의 안전성적을 비교 · 평가하는 지표

    ② 안전에 관한 중대성의 차이를 비교

    ③ 판정기준(결과)

      ㉮ +2.0 이상 : 과거보다 심각하게 나빠짐

      ㉯ +2.0 ~ -2.0 : 심각한 차이 없음

      ㉰ -2.0 이하 : 과거보다 좋아짐

    ④ Safe T Score

728x90

'안전기술사 > 산업안전관리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산업재해의 ILO구분 및 근로손실일수  (0) 2022.04.26
재해조사  (0) 2022.03.28
브레인 스토밍(Brain Storming)  (0) 2022.01.16
위험예지훈련  (0) 2022.01.16
TBM(Tool Box Meeting)  (0) 2021.12.22